독일의 국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독일의 국기는 검정, 빨강, 금색의 가로 줄무늬로 구성되어 있으며, 독일연방공화국 기본법에 의해 규정된다. 1848년 혁명 시기 자유주의 운동의 상징으로 처음 사용되었으며, 바이마르 공화국 시기에 공식 국기로 채택되었다. 나치 정권 하에서는 폐지되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서독과 재통일 독일의 국기로 사용되었다. 현재는 민간기, 정부기, 군기로 사용되며, 정부기는 연방방패를 추가한 디자인을, 군기는 제비 꼬리 모양으로 갈라진 형태를 가진다. 독일에는 국기 게양일이 법으로 정해져 있으며, 주요 기념일과 선거일에 국기를 게양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의 기 - 나치 독일의 국기
나치 독일의 국기는 붉은색 바탕에 흰색 원, 검은색 하켄크로이츠를 배치한 디자인으로, 희생과 게르만족을 상징하며, 1935년 공식 국기로 지정되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사용이 금지되었다. - 독일의 기 - 동독의 국기
동독의 국기는 검정, 빨강, 금색 삼색기에 망치, 컴퍼스, 호밀 고리가 추가된 형태로, 1949년부터 1959년까지 서독과 동일한 국기를 사용하다가 변경되었으며, 서독에서 한동안 금지되기도 했다. - 독일의 상징 - 브란덴부르크 문
브란덴부르크 문은 베를린에 있는 신고전주의 양식의 개선문으로, 독일 최초의 그리스 부흥 양식 건축물 중 하나이며, 도리스식 기둥과 사륜전차상으로 장식되어 프로이센의 번영과 독일 통일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 독일의 상징 - 검독수리
검독수리는 몸길이 66~90cm, 날개 편 길이 180~234cm의 대형 독수리로, 검은 갈색 깃털과 황금빛 뒷머리 깃털이 특징이며 유라시아, 북아메리카, 북아프리카 등 넓은 지역에 분포한다. - 독일의 역사 - 나치 독일
나치 독일은 아돌프 히틀러의 나치당이 통치한 1933년부터 1945년까지의 독일을 가리키며, 극단적인 민족주의와 전체주의를 바탕으로 제2차 세계 대전을 일으키고 홀로코스트를 포함한 대량 학살과 인권 유린을 자행했다. - 독일의 역사 - 프로이센
프로이센은 중세 시대 발트족에서 유래하여 튜턴 기사단, 프로이센 공국, 왕국 시대를 거치며 군사 강국으로 성장했고, 독일 통일을 주도하여 독일 제국을 건설했으나 제1차 세계 대전 패배로 해체되었다.
독일의 국기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명칭 | 독일 연방 공화국 |
국기 정보 | |
용도 | 국기, 민간기, 상선기 |
비율 | 3:5 |
제정일 | 1949년 5월 23일 |
디자인 | 검은색, 빨간색, 금색의 가로 삼색기 |
연방 당국 직무기 정보 | |
![]() | |
용도 | 정부기 |
비율 | 3:5 |
제정일 | 1950년 6월 7일 |
디자인 | 민간기 중앙에 국장이 그려져 있음 |
연방 해군 직무기 정보 | |
![]() | |
용도 | 해군기 |
비율 | 3:5 |
제정일 | 1956년 5월 25일 |
디자인 | 제비 꼬리 모양의 민간기 중앙에 국장이 그려져 있음 |
기타 정보 | |
색상 | |
참고 문헌 |
2. 역사적 배경
독일에서 흑적금 삼색기가 사용된 것은 1840년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흑적금 삼색기는 나폴레옹 보나파르트 몰락 이후 유럽의 반동주의 질서에 대항하는 운동의 상징이었다.[81] 프랑크푸르트 국민의회는 흑적금 삼색을 독일 연방의 공식 색으로 선언했는데, 빨간색은 한자 동맹, 금색과 검은색은 오스트리아 제국을 상징한 것으로 추정된다.[81]
1848년 깃발의 색 조합에 대해서는 여러 가설이 있다. 카를스바트 결의에서 금지된 급진 대학생 단체 부르셴샤프트의 색이라는 설,[80] 나폴레옹 전쟁 당시 뤼초프 자유군단 제복(금색 단추, 빨간색 안단, 검은색 옷)에서 유래했다는 설 등이 있다.[81] 어떤 가설이 진실이든, 흑적금 삼색은 이 시기에 독일의 국가색으로 받아들여졌고, 바이마르 공화국에서 재도입되어 사회적 자유주의를 상징하게 되었다.[81]
2. 1. 중세
신성 로마 제국(800년/962년 ~ 1806년)은 국기가 없었지만 검은색과 금색은 신성 로마 황제의 색으로 사용되었다. 황실기는 금색 바탕에 검은 독수리가 그려진 디자인이었는데, 13세기 말에는 독수리의 발톱과 부리가 빨간색으로 칠해졌다. 15세기부터는 쌍두 독수리가 사용되었다.[98]이 시기에는 빨간색과 하얀색도 중요한 역할을 했다. 신성 로마 제국이 십자군 원정에 참여했을 때 흑금 황실기와 함께 군기가 게양되었다. “성 게오르기우스의 기”로 알려진 이 기는 빨간색 바탕에 하얀색 십자가가 그려져 있었는데, 덴마크의 국기와 비슷하고 잉글랜드의 국기와는 색 배치가 반대이다.[98]
빨간색과 하얀색은 13세기부터 17세기 사이에 활동했던 한자 동맹을 상징하는 색이기도 했다. 한자 동맹에 소속된 무역선은 적백 삼각기를 달았고, 가맹 도시들은 빨간색과 하얀색을 상징색으로 채택했다. 오늘날에도 함부르크, 브레멘과 같이 한자 동맹에 소속되어 있던 많은 도시에서 빨간색과 하얀색을 찾아볼 수 있다.
2. 2. 로이스그라이츠 후국
1778년 5월 12일, 요제프 2세는 하인리히 11세 후작을 로이스그라이츠 후국의 통치자로 임명했다. 이때 로이스그라이츠 후국(Fürstentum Reuß-Greiz)이 채택한 깃발은 독일을 구성하는 지역 내 모든 주권 국가 중에서 현대적인 배열의 흑-적-금 삼색기가 최초로 등장한 사례였다. 로이스그라이츠 후국을 통치했던 로이스 장남 계열은 현대 독일 국기의 3:5 비율 대신 거의 정사각형에 가까운 4:5 비율의 깃대/깃발 길이 비율의 깃발을 사용했다.[81]
2. 3. 나폴레옹 전쟁
나폴레옹 전쟁 당시, 프랑스 점령군에 대한 독일의 저항은 검은색, 빨간색, 금색으로 상징되었다. 이 조합은 프로이센 군대의 의용군인 뤼초프 자유군단의 제복에서 유래되었다. 뤼초프 자유군단의 제복은 검은색 바탕에 빨간색 안감과 금색 단추가 달려 있었다.[100] 흑적금 삼색은 신성 로마 제국 시절에도 사용되었지만, 군복에 이 색을 사용한 것은 실용적인 이유 때문이었다.[100] 자유군단 구성원들은 각자 옷을 조달해야 했는데, 검은색으로 염색하는 것이 가장 쉬웠고, 금색 단추는 구하기 쉬웠으며, 부대 소속 창기병들은 빨간색과 검은색 깃을 사용했다. 이 삼색은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가졌다.[101]독일 각지에서 모인 뤼초프 자유군단의 구성원들은 주로 대학생과 지식인들이었고, 뤼초프 자유군단과 삼색은 독일 국민들 사이에서 상당한 인지도를 얻었다.[100]

2. 4. 독일 연방
빈 회의(1815-1816)를 통해 나폴레옹 전쟁 이후 남아 있던 모든 독일계 국가들의 느슨한 연합체인 독일 연방이 탄생했다. 독일 연방은 자체적인 기가 없었지만, 종종 흑적금 삼색기가 독일 연방의 기로 혼동되기도 한다.[102]전쟁에서 돌아온 뤼초프 자유군단의 퇴역 군인들은 1815년 6월 예나에서 우어부르셴샤프트(Urburschenschaft|원조 학우회de)를 설립했다. 예나 우어부르셴샤프트는 자유군단의 제복 색을 따서 빨간색, 검은색, 빨간색 가로 줄무늬 가운데에 금색 참나무 가지가 그려져 있고 금색 테두리를 두른 기를 채택했다.[100]
뤼초프 자유군단 출신 학생들이 여러 독일계 국가 출신이었기 때문에, 통일 독일 국가에 대한 구상은 우어부르셴샤프트와 연방 전역의 유사한 부르셴샤프트(Burschenschaft|학우회de) 사이에서 탄력을 받기 시작했다. 1817년 10월 18일, 라이프치히 전투 4주년을 맞아 연방 전역에서 모인 학우회 조합원들과 대학생들이 작센바이마르아이제나흐 대공국(현재의 튀링겐 자유주) 바르트부르크 성에 모여 자유롭고 통일된 독일 국가를 요구하는 바르트부르크 축제를 열었다. 이 축제에서 예나 우르부르셴샤프트의 금적흑 삼색기가 눈에 띄게 나타났고, 검정-빨강-금색 조합은 통일 독일 국가에 대한 열망을 상징하게 되었다.
1832년 5월에는 약 30,000명의 군중들이 함바흐 축제에서 자유, 통일, 공민권을 요구하는 시위를 벌였다. 바르트부르크 축제 이후 검은색, 빨간색, 금색 조합은 자유주의, 민주주의, 공화주의 운동의 상징으로 정착했고, 함바흐 축제에서 이 색들을 가진 기들이 일제히 휘날렸다.
1848년 혁명 당시 흑적금 삼색기는 독일 연방의 공식 색으로 선언되었으며,[81] 빨간색은 한자 동맹을, 금색과 검은색은 오스트리아 제국을 상징한 것으로 생각된다.
2. 5. 1848년 혁명과 프랑크푸르트 국민의회
1848년 독일 혁명 당시 혁명가들은 삼색기를 휘날리며 자유와 통일을 요구했다. 자유주의자들이 정권을 잡은 후 구성된 프랑크푸르트 국민의회(1848년~1849년)는 검정-빨강-금색을 독일의 국가색으로 공식 선언하고, 흑적금 삼색기를 독일의 상선기로 하는 법률을 통과시켰다.[107] 해군기 역시 같은 색상을 사용했다.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1866년)에서 오스트리아를 지지한 남독일 국가들의 군인들이 흑적금 삼색기를 사용하기도 하였다.[102]
2. 6. 북독일 연방과 독일 제국 (1867-1918)
1866년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 이후, 프로이센은 1866년 8월에 북독일 연방 조약을 체결하고 1867년에 북독일 연방 헌법을 비준하여 독일 연방의 비공식적 후계자인 북독일 연방을 결성했다. 이 연합체는 맹주인 프로이센과 21개의 북독일 국가들로 구성되었다. 당시 해운업계는 국제적으로 승인받을 수 있는 정체성을 갖기를 원했기 때문에, 새로운 연방이 어떤 기를 사용해야 하는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다. 북독일 연방의 국제 해운 활동은 사실상 프로이센과 과거 한자 동맹에 소속되어 있던 도시 국가인 브레멘, 함부르크, 뤼베크가 전담하고 있었다. 이에 아돌프 죄트비어(Adolf Soetbeer) 함부르크 상공회의소 서기는 1866년에 프로이센의 색인 검은색과 하얀색, 한자 동맹의 색인 빨간색과 하얀색을 결합한 기를 제안했다. 이듬해 제정된 북독일 연방 헌법은 흑백적 가로 줄무늬 삼색기를 상선기와 해군기로 채택했다.[108]프로이센의 빌헬름 1세 국왕은 빨간색과 하얀색이 프로이센 왕국의 전신인 브란덴부르크 변경백국을 상징한다는 점에서 색상 선택에 만족했다.[100] 또한 기에서 금색이 사라진 것은 새로운 독일 국가가 검은색과 금색을 상징색으로 정했던 오스트리아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했다. 이후 프로이센-프랑스 전쟁을 계기로 남독일 국가들은 프로이센을 맹주로 하는 북독일 연방과 동맹을 맺고 1871년에 독일의 통일을 이끌어냈으며, 프로이센의 호엔촐레른 왕가가 독일 황제 칭호를 받게 된다. 독일 제국 헌법은 검정, 하양, 빨강을 국가색으로 정했고,[109] 1892년에 제정된 조례는 북독일 연방에서 사용했던 삼색기를 독일 제국의 공식적인 국기로 지정했다. 흑백적 삼색기는 제1차 세계 대전 말기인 1918년에 독일 제국이 붕괴할 때까지 독일의 국기로 유지되었다.
2. 7. 바이마르 공화국 (1918-1933)
1918년 독일 공화국 선포와 그에 따른 혁명 시대 이후, 1919년 8월에 소위 바이마르 공화국이 설립되었다. 19세기에 있었던 반독재 운동과 새로운 민주 공화국 사이의 연속성을 위해, 1919년 바이마르 헌법에서 옛 흑적금 삼색기가 독일 국기로 지정되었다.[110] 로이스그라이츠 후국, 로이스게라 후국, 발데크 후국 및 발데크 자유주와 같이 1778년에 설립된 전통을 유지한 곳을 제외하고, 검정, 빨강, 금색의 독일 색상을 깃발에 계속 사용했다. 민간기로는 흑백적 삼색기가 유지되었지만, 왼쪽 상단 모서리에 새로운 삼색기가 추가되었다.
이러한 국기 변화는 많은 독일인들에게 환영받지 못했는데, 그들은 새로운 국기를 독일이 제1차 세계 대전에서 패배한 결과에 따른 굴욕의 상징이라고 생각했다. 특히 독일 국가방위군(Reichswehr|라이히스베어de)은 독일 제국 시대의 군기를 사용하는 일이 더 많았다. 많은 보수주의자들은 예전의 색상으로 회귀할 것을 요구했는데, 왕당파와 극우주의자들은 새로운 국기를 다양한 멸칭으로 비하하면서 반대 목소리를 훨씬 더 높였다. 결국 1922년에 타협안으로서 재외 공관용에 한하여 옛 흑백적 삼색기가 재도입되었다.[88]
독일 제국의 상징은 곧 왕당파와 국가주의자들의 상징이 되었으며, 전선병사동맹 철모단을 비롯한 왕당파 국가주의 단체에서 사용되었다. 국가전쟁기(Reichskriegsflagge|라이히스크릭스플라게de) 역시 유사한 용도로 사용되었다. 독일 국가인민당과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나치당) 등 바이마르 공화국 시기에 활동한 많은 국가주의 정당들은 제국 색상을 상징색으로 사용했으며, 이것은 현대 독일의 극우 민족주의 정당인 독일 국민민주당까지 이어지고 있다.
1924년 2월 24일, 바이마르 대연정을 구성한 3개 정당(중앙당, 민주당, 사회민주당)의 당원들과 노동조합원들이 마그데부르크에 모여 흑적금 국기단(Reichsbanner Schwarz-Rot-Gold|라이히스바너 슈바르츠-로트-골트de)이라는 준군사조직을 결성했다. 이 조직의 목적은 극좌와 극우 양쪽에서 끊임없는 압박을 받는 바이마르 공화국의 취약한 민주주의를 수호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 단체를 통하여 흑적금 삼색기는 독일 민주주의의 상징일 뿐 아니라 정치적 극단주의에 대한 저항의 상징으로 거듭났다. 이것은 국기단의 초대 주석인 오토 회슬링의 말로 대표되는데, 회슬링은 국기단의 임무를 “만자문과 소비에트의 별에 대한 투쟁”이라고 묘사하였다.[111]
공산주의자들과 국가사회주의자들 간의 폭력적인 갈등이 날이 갈수록 더해갔고, 급격한 경제 불황, 극심한 초인플레이션, 공화국의 부패에 직면하여 독일인들 사이의 양극화는 계속하여 심화되었다. 결국 1933년에 아돌프 히틀러가 독일국 총리(Reichskanzler|라이히스칸츨러de)가 되었고, 나치의 권력 장악(Machtergreifung|마흐터그라이풍de)이 일어나면서 바이마르 공화국은 붕괴되었다.
2. 8. 나치 독일과 제2차 세계 대전 (1933-1945)
1933년 1월 30일 나치 정권이 수립되면서 흑적금 삼색기는 빠르게 폐기되었다. 파울 폰 힌덴부르크 대통령은 같은 해 3월 12일에 2개의 법적 국기를 제정했는데, 하나는 독일 제국 시절에 사용된 흑백적 삼색기를 재도입한 것이었고 다른 하나는 나치당의 당기였다.[112][113]1935년 9월 15일, 총통 아돌프 히틀러는 나치당의 당기만을 독일의 유일한 국기로 지정했다. 이로써 2개의 국기 사용은 종료되었다. 그 이유 중 하나는 1935년 7월 26일에 발생한 "SS 브레멘 사건"으로 거론된다. 이 사건은 미국 뉴욕에 정박 중이던 독일 상선 SS 브레멘에 나치당 반대 시위대가 난입하여 깃대에 걸려 있던 나치당기를 내려서 찢어 허드슨강에 던져 버린 사건이다. 미국 주재 독일 대사관이 항의하자 미국 공무원들은 독일 국기는 손상을 입지 않았으며 손상된 것은 일개 정당의 상징일 뿐이라고 반박했다.[114] 헤르만 괴링은 흑백적 삼색기는 지나간 시절의 상징이며 “반동분자들”이 사용할 위험이 있다고 주장했다.[117]
나치당의 당기 디자인은 히틀러가 1920년 중반에 제안했는데, 빨간색 바탕에 하얀색 동그라미가 그려져 있고 그 안에 검은색 하켄크로이츠(만자문)가 그려져 있는 디자인이다. 히틀러는 《나의 투쟁》에서 나치당의 당기가 만들어진 과정을 설명했다. 히틀러는 독일 제국 시절에 사용했던 국기와 같은 색을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히틀러에 따르면 이들 색상은 “영광스러운 과거와 독일 민족의 영광에 대한 존경을 나타내는 존경받는 색상”이기 때문이다. 또한 “새로운 기는 … 거대한 포스터와 같은 효율성을 지녀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나치당의 선전에서는 기가 상징하는 바를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빨간색은 사회를, 하얀색은 운동의 국가적 사고를, 하켄크로이츠는 유대인에 대한 아리안 민족의 승리를 의미하는 것이다.”[118]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연합국 통제위원회는 모든 나치 상징을 폐지하고 관련 법들을 폐지했다.[122]
2. 9.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직후 (1945-1949)
연합군 분할 통치 하의 독일은 정부와 국기가 없는 상태였다. 그러나 국제법에 따라 독일 선박은 소속 국가를 알리는 상선기를 게양해야 했다. 연합국 통제위원회는 국제 신호기에서 C를 상징하는 찰리(Charlie)에서 파생된 C-삼각기(C-Doppelstanderde)를 지정했는데, 이 기는 끝 부분이 제비 꼬리 모양을 띠고 있었다. 위원회는 이 기에 대해 “어떠한 국적의 군함이나 상선에 대한 경의를 표하기 위한 의식을 거행해서는 안 된다.”고 명령했다.[123]오데르-나이세선 서쪽에 위치한 독일의 주들은 연합군의 점령 지역을 따라 재편성되었고, 새로운 주 정부들이 수립되었다. 1946년에는 미국 점령 지역 내에서 옛 뷔르템베르크주와 바덴 공화국의 북부 절반이 뷔르템베르크바덴주로 통합되었다. 뷔르템베르크바덴주는 검정-빨강-금색 삼색기를 주기로 채택했다.[124] 이 색상은 역사적인 삼색기가 아니라 빨강-검정으로 구성된 뷔르템베르크주의 기에 금색을 추가한 것이었다.[125] 뷔르템베르크바덴주는 1952년에 현대의 바덴뷔르템베르크주의 일부가 되었다.
전후에 만들어진 라인란트팔츠주(프랑스 점령 지역), 니더작센주(영국 점령 지역)는 주기에 문장을 덧붙인 검정-빨강-금색 삼색기를 공통으로 사용하기로 결정했다.[126][127] 이들 주는 이전의 주에서 분리되어 새로 형성된 주였는데, 흑적금 삼색은 이전의 어느 주와도 특별히 관련이 없었고 옛 바이마르 공화국의 국기를 사용하는 것은 새로운 민주주의의 상징으로 받아들여졌기 때문이다.[128][129]
2. 10. 독일 분단 시기 (1949-1989)
서독은 1949년 5월 23일에 흑적금 삼색기를 국기로 채택했다.[86] 이 결정은 1948년 8월 헤렌킴제에서 열린 국가 상징에 대한 회의에서 이루어졌는데, 동독과의 재통일 전까지는 국기를 만들지 말자는 의견도 있었지만 결국 국기를 정하기로 했다. 이는 1946년 11월 동독의 독일 통일사회당(SED)이 흑적금 삼색을 독일 공화국의 색상으로 제안한 헌법[130][131]에 영향을 받은 것이었다.동독은 1949년 10월 7일에 흑적금 삼색기를 국기로 채택했다.[137] 그러나 1959년 10월 1일, 동독 정부는 흑적금 삼색기에 동독의 국장을 추가한 국기로 변경했다.[138] 서독에서는 이러한 변화를 분단 의도로 간주하여 '분단기'(Spalterflaggede)라고 칭하며 1960년대 말까지 금지했다.
1960년부터 1968년까지 올림픽 독일 연합 선수단은 흑적금 삼색기에 오륜이 추가된 기를 사용했다.
2. 11. 1989년 이후
1989년 11월 베를린 장벽 붕괴 이후, 많은 동독인들은 깃발에서 문장을 제거하여 통일 독일을 상징하는 흑-적-금 삼색기를 만들었다.[61] 이는 통일되고 민주적인 독일의 상징으로 흑-적-금 삼색기를 사용하자는 의미였다. 1990년 10월 3일, 동독 지역이 서독에 편입되면서 흑-적-금 삼색기는 재통일된 독일의 국기가 되었다. 1998년에는 SED 독재 청산을 위한 연방재단이 설립되었다. 연방 정부에 직접 책임이 있는 이 기관의 임무는 이전 동독 정권의 결과를 조사하는 것이며, 재단은 로고로 공산주의 문장이 잘린 동독 깃발을 사용했다.[62]
독일 제국의 옛 흑-백-적 삼색기는 여전히 군주제 지지자들과 독일의 민주적인 군주제의 평화로운 재도입을 열망하는 왕족 구성원들에 의해 사용된다.[63] 그러나 이러한 옛 깃발의 사용은 극우에 의한 사용으로 인해 거의 가려져 있다. 나치 상징(예: 갈고리 십자가, 돌격대(SS)의 이중 룬 문자 등)에 대한 금지가 오늘날 독일에서 여전히 유효하기 때문에 극우는 나치 깃발을 사용하는 것을 포기하고 대신 나치 자신이 1935년에 금지한 옛 제국 깃발을 사용해야 했다.[38]

독일에서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대부분의 기간 동안 나치당에 의한 깃발의 광범위한 사용과 일반적인 국수주의적 열정에 대한 반응으로 깃발 및 기타 국가 상징의 사용이 상대적으로 적었다.[64] 독일 국가대표팀이 토너먼트 후반까지 진출(결승전에서 우승팀 이탈리아에 탈락)한 2006년 FIFA 월드컵 동안 국기를 공개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급격히 증가했다.[65] 일상생활에서 깃발의 출현이 폭발적으로 증가한 것은 처음에는 많은 독일인들에게 놀라움과 우려가 섞인 반응을 불러일으켰다.[66] 독일 국기 흔들기와 국가적 자부심이 나치 과거와 불가분의 관계가 있다는 수십 년 동안의 두려움은 토너먼트가 끝날 무렵 독일인과 비독일인 모두에 의해 일축되었다.[67]
2014년 독일의 월드컵 우승 당시에는 독일 국기의 사용이 산발적으로 증가했다.[69] 그 후 기간 동안 독일 국기 색상의 표시는 경기장 외부에서도 주요 스포츠 이벤트 기간으로 정기적으로 제한되었다. 그러나 민족주의적 흐름의 부상(페기다, AfD 등)과 그들이 민족주의의 상징으로 독일 국기를 보여줌에 따라 국기는 다시 더 광범위하게 사용되었지만 일상생활에서는 다소 논란이 되고 있다.[69] 주류 사회는 여전히 색상을 사용하는 것을 주저한다.[70]
3. 디자인
독일연방공화국 기본법 제22조는 독일의 국기를 "검은색, 빨간색, 금색"으로 규정하고 있으며,[86] 1950년에 공개된 서독 정부의 설명에 따르면, 국기는 가로와 세로 비율이 3:5이고 세 개의 가로 줄무늬 너비가 동일하다.[87]
3. 1. 색상
독일연방공화국 기본법 제22조는 독일의 국기를 "검은색, 빨간색, 금색"으로 규정하고 있다.[86] 1950년 서독 정부의 설명에 따르면, 독일 국기는 너비가 동일한 3개의 가로 줄무늬로 구성되어 있으며, 가로세로 비율은 3:5이다.[87] 바이마르 공화국 시대에는 이 비율이 2:3이었다.[88]독일 국기에 사용되는 “검정-빨강-금색”이 정확히 어떤 색인지에 대해서는 국기 제정 당시 공식적으로 결정되지 않았다.[89][90] 독일 연방내각은 1999년 6월 2일에 독일 정부 브랜드 디자인을 도입하면서 공식적인 색상 규격을 다음과 같이 정의했다.[91][92]
색상 체계 | 검정 (Schwarz|슈바르츠de) | 빨강 (Rot|로트de) | 금색 (Gold|골트de) | |||
---|---|---|---|---|---|---|
RAL | rowspan="6" style="background:#000000; width:20px;"| | 9005 흑옥색 (Jet black) | rowspan="6" style="background:#FF0000; width:20px;"| | 3020 적신호 (Traffic red) | rowspan="6" style="background:#FFCC00; width:20px;"| | 1021 유채 노랑 (Rapeseed yellow) |
HKS | 0, 0, 0 | 5.0PB 3.0/12 | 6.0R 4.5/14 | |||
CMYK | 0-0-0-100 | 0-100-100-0 | 0-12-100-5 | |||
팬톤 (근사값) | Black | 485 | 7405 | |||
웹 색상 | #000000 | #FF0000 | #FFCC00 | |||
RGB | 0-0-0 | 255-0-0 | 255-204-0 |
기학에서는 금색과 노란색을 거의 구별하지 않지만, 문장학에서는 둘 다 ‘오르’(프랑스어로 ‘금’이라는 뜻)라고 한다. 하지만 독일의 국기에서는 금색과 노란색이 구별된다. 이는 독일의 국기에 사용되는 색은 금색이지, 노란색이 아니기 때문이다.
바이마르 공화국에서 흑적금 삼색기가 국기로 채택되던 당시에 보수파, 왕당파, 극우파 진영에서 이 색상을 “검은색-빨간색-누렁색”(Schwarz-Rot-Gelb|슈바르츠-로트-겔프de), 심지어 “검은색-빨간색-겨자색”(Schwarz-Rot-Senf|슈바르츠-로트-젠프de), “검은색-빨간색-똥색”(Schwarz-Rot-Scheiße|슈바르츠-로트-샤이세de)이라고 부르면서 공격했다.[93] 1933년에 나치당이 정권을 잡으면서 제국 시절인 1918년 이전에 사용되었던 흑백적 삼색이 재도입되었는데, 나치당은 바이마르 공화국의 명예를 떨어뜨리기 위해 과거 왕당파들과 마찬가지로 선전 과정에서 흑적금 삼색을 비하·경멸하는 표현을 사용했다.[94]
1959년 11월 16일에 독일 연방사법재판소(Bundesgerichtshof|분데스거리히츠호프de)는 독일의 국기 색을 “검은색-빨간색-노란색”이라고 부르는 행동이 나치 시절에 이루어진 민주주의 상징에 대한 악의적인 모욕이라고 판결함으로써 금색이 아닌 노란색이라고 주장하는 것은 불법이 되었다.[94] 1968년에는 독일의 문장학자인 아르놀트 라보프(Arnold Rabbow)는 “독일의 국가색은 검은색-빨간색-노란색이지만 독일인들은 검은색-빨간색-금색이라고 부른다.”고 설명했다.[95]
4. 기의 변형
독일 국기는 민간기, 정부기, 군기 등 다양한 형태로 사용된다.
정부기와 군함기를 민간에서 사용하는 것은 금지되어 있지만, 정부기와 매우 유사한 디자인의 시민기에 국장을 변형한 깃발이 민간에서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4. 1. 민간기
검정, 빨강, 금색의 세 가지 가로 줄무늬로만 구성된 독일의 국기 또는 연방기(Bundesflagge|분데스플라게de)는 1949년에 독일연방공화국 기본법을 통해 제정되어 독일(서독 시절 포함)의 헌법 역할을 하게 되었다.[86] 이후 정부기와 군기가 새로 생기면서, 단순한 삼색기는 현재 독일의 민간기 및 상선기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비연방 당국이 연방 정부와의 연결을 과시하기 위해 사용하기도 하는데, 예를 들어 독일의 주들은 독일의 국기와 주기를 함께 사용한다.4. 2. 정부기

독일의 정부기는 공식적으로 '''연방당국직무기'''(Dienstflagge der Bundesbehörden|딘스트플라게 데어 분데스베회르덴de) 또는 '''연방직무기'''(Bundesdienstflagge|분데스딘스트플라게de)로 알려져 있다. 1950년에 도입된 정부기는 민간기 가운데에 연방방패(Bundesschild|분데스실트de)가 추가된 디자인인데, 방패는 검은색과 금색 줄무늬 너비의 1/5까지 덮는다.[87] 연방방패는 독일의 국장과 비슷하지만 완전히 같지는 않다. 국장과의 차이점은 독수리와 방패의 모양이 다른 것인데 연방방패는 바닥이 둥글지만 국장의 방패는 바닥이 뾰족하다.
독일의 연방직무기는 연방 정부 당국에서만 사용될 수 있고 민간인이 사용하는 것은 불법으로 간주되어 벌금형에 처해진다.[82] 하지만 연방직무기와 비슷하게 생긴 기(예를 들어 연방방패 대신에 독일의 국장이 들어있는 디자인)의 개인적인 사용은 눈감아 주고 있는데 그러한 기는 국제 스포츠 경기에서 자주 볼 수 있다.
4. 3. 세로기
일반적인 가로기 외에도 독일의 많은 공공 건물들은 세로기를 사용한다. 독일의 많은 시청들은 국기와 함께 시기를 게양하는데, 그 이유는 독일의 많은 시기들이 세로 형태로만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세로기의 비율은 따로 지정되어 있지 않다. 1996년에는 정부기를 세로로 배치한 디자인이 제정되었다. 정부기를 세로로 게양할 때에는 연방방패가 기의 중앙에 위치하고 검은색과 금색 띠 너비의 1/5 가량을 차지하고 있어야 한다.[83] 현수막처럼 게양할 때에는 검은색 줄무늬가 왼쪽, 금색 줄무늬가 오른쪽을 향하도록 게양해야 한다. 세로 방향의 깃대에 게양할 때에는 검은색 줄무늬가 깃대와 접하고 있어야 한다.[84]
4. 4. 군기
독일 연방방위군은 연방 정부에 소속된 조직이기 때문에 연방직무기가 육상 전투에서도 사용된다.[85] 1956년에는 '''연방해군직무기'''(Dienst flagge der Seestreitkräfte der Bundeswehr|딘스트 플라게 데어 제슈트라이트크레프테 데어 분데스베어de)가 제정되었다. 이 기는 연방직무기의 오른쪽 끝 부분이 제비 꼬리 모양으로 갈라진 형태이다.[85] 이 함미기는 함수기로도 사용된다.5. 국기 게양일
독일에는 국기를 게양하는 날(Beflaggungstage|베플라궁스타게de)이 법령으로 정해져 있다. 2005년 3월 22일에 제정된 독일 연방 법령에 따라 다음 날짜에 공공 건물에서 반드시 국기를 게양해야 한다. 이 날 모두가 공휴일인 것은 아닌데, 공휴일은 5월 1일과 10월 3일뿐이다.[96]
날짜 | 명칭 | 사유 |
---|---|---|
1월 27일 | 국가사회주의 희생자 추념일 Tag des Gedenkens an die Opfer des Nationalsozialismus|타크 데스 게덴켄스 안 디 오프페어 데스 나치오날조치알리무스de | 1945년 아우슈비츠 강제 수용소가 해방된 날이다. 유엔에서는 이 날을 국제 홀로코스트 희생자 추모의 날로 지정했다. (조기로 게양) |
5월 1일 | 노동절 Tag der Arbeit|타크 데어 아르바이트de | 독일 노동조합이 노동자들의 복지 증진을 요구하는 시위를 통해 제정했다. |
5월 9일 | 유럽의 날 Europatag|오이로파타크de | 1950년 유럽 연합 창설의 계기가 된 슈만 선언이 발표된 날이다. |
5월 23일 | 제헌절 Grundgesetztag|그룬트게제츠타크de | 1949년 독일연방공화국 기본법이 제정된 날이다. |
6월 17일 | 1953년 6월 17일 기념일 Jahrestag des 17. Juni 1953|야레스타크 데스 17. 유니 1953de | 1953년 동독 폭동 사태를 기념하는 날이다. |
7월 20일 | 1944년 7월 20일 기념일 Jahrestag des 20. Juli 1944|야레스타크 데스 20. 율리 1944de | 클라우스 폰 슈타우펜베르크 백작이 아돌프 히틀러의 암살을 기도한 7·20 음모를 기념하는 날이다. |
10월 3일 | 독일 통일의 날 Tag der Deutschen Einheit|타크 데어 도이첸 아인하이트de | 독일의 재통일을 기념하는 날이다. |
대림절 2주 전 일요일 | 국민 애도의 날 Volkstrauertag|폴크스트라우어타크de | 모든 전쟁에서 사망한 사람들을 애도하는 기념일이다. (조기로 게양) |
일부 주에서는 특정 주별 기념일 이외에 독일 연방하원 및 유럽 의회 선거일에 국기를 게양하기도 한다. 독일의 대통령이나 그 외의 유명한 정치인이 사망한 날과 같은 경우에도 공공장소에서 조기 형태로 기를 게양하며 이는 독일 연방내무부의 재량에 따라 선포할 수 있다.[96] 조기를 게양해야 할 때는 세로 방향으로 게양된 기는 내리지 않는다. 대신 깃대 꼭대기나(기둥에 걸려 있는 경우) 기와 들보가 만나는 양쪽 끝(현수막처럼 걸려 있는 경우)에 검은 리본을 달아서 애도를 표한다.[97]
참조
[1]
웹사이트
Anordnung über die deutschen Flaggen
http://www.gesetze-i[...]
2012-02-14
[2]
웹사이트
Zur Auflösung der Jenaer Burschenschaft / Wir hatten gebauet ein stattliches Haus free midi mp3 download Strand Hotel Sechelt bed breakfast
http://www.ingeb.org[...]
2016-09-21
[3]
웹사이트
The Flag of Germany
https://everythingab[...]
2011-08-25
[4]
웹사이트
§ 124 OWiG: Benutzen von Wappen oder Dienstflaggen
http://bundesrecht.j[...]
1968-05-24
[5]
웹사이트
Anordnung über die deutschen Flaggen
http://bundesrecht.j[...]
1996-11-13
[6]
웹사이트
Flag hoisting formats and terminology (Germany, Austria, and adjacent countries)
https://www.fotw.inf[...]
2001-10-26
[7]
웹사이트
Kinds of flags
https://www.protokol[...]
[8]
웹사이트
Anordnung des Bundespräsidenten über die Dienstflagge der Seestreitkräfte der Bundeswehr
http://www.gesetze-i[...]
1956-05-25
[9]
웹사이트
Basic Law for the Federal Republic of Germany
http://www.documenta[...]
1949-05-23
[10]
웹사이트
Anordnung über die deutschen Flaggen
http://www.documenta[...]
1950-07-07
[11]
웹사이트
Verordnung über die deutschen Flaggen
http://www.documenta[...]
1921-04-11
[12]
웹사이트
Colors of the Flag (Germany)
https://www.crwflags[...]
1998-08-05
[13]
웹사이트
Historical Use of the Current Flag
https://www.crwflags[...]
[14]
웹사이트
Primärfarben
http://styleguide.bu[...]
2007-12-17
[15]
웹사이트
Styleguide der Bundesregierung
https://styleguide.b[...]
[16]
논문
Flags of the Weimar Republic
[17]
법률
3 StR 45/59
Federal Court of Justice of Germany
1959-11-16
[18]
논문
Schwarz–Rot–Gold oder Schwarz–Rot–Gelb?
[19]
웹사이트
Beflaggungserlass der Bundesregierung
http://www.bmi.bund.[...]
2005-03-22
[20]
웹사이트
Flag Protocol (Germany)
http://www.crwflags.[...]
2002-02-06
[21]
웹사이트
Holy Roman Empire
http://www.crwflags.[...]
[22]
웹사이트
Unidentified 'Rhine Republic' Flag 1806 (Germany)
http://www.crwflags.[...]
[23]
논문
Schwarz-Rot-Gold: Einheit in Freiheit
[24]
간행물
Illustrierte Zeitung
Leipzig
1865-08-05
[25]
웹사이트
German Confederation
http://www.crwflags.[...]
[26]
서적
History of Germany in the Nineteenth Century
[27]
서적
History of Germany in the Nineteenth Century
[28]
백과사전
Austria: The Age of Metternich
https://www.britanni[...]
[29]
웹사이트
The Hambach Festival
http://www.hambacher[...]
[30]
웹사이트
Gesetz betreffend die Einführung einer deutschen Kriegs- und Handelsflagge
http://www.documenta[...]
1848-11-12
[31]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the North German Confederation
http://www.documenta[...]
1867-06-27
[32]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the German Empire
http://www.documenta[...]
1871-04-16
[33]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the Weimar Republic
http://www.documenta[...]
1919-08-11
[34]
웹사이트
Symbol für Freiheit, Einheit und Demokratie
http://www.landtag.r[...]
[35]
웹사이트
Erlaß des Reichspräsidenten über die vorläufige Regelung der Flaggenhissung
http://www.documenta[...]
1933-03-12
[36]
웹사이트
The German Swastika Flag 1933–1945
http://www.loeser.us[...]
2010-07-17
[37]
서적
Flags & standards of the Third Reich
Macdonald & Jane's
[38]
웹사이트
Reichsflaggengesetz
http://www.documenta[...]
1935-09-15
[39]
뉴스
Germany: Little Man, Big Doings
https://web.archive.[...]
Time
1935-09-23
[40]
간행물
Statement by Hermann Göring
Völkischer Beobachter
1935-09-17
[41]
웹사이트
The Life of the Fuehrer
https://research.cal[...]
2021-02-12
[42]
웹사이트
Verordnung über die vorläufige Regelung der Flaggenführung auf Kauffahrteischiffen
http://www.documenta[...]
1933-12-20
[43]
웹사이트
Historical Flags of Our Ancestors – The German Swastika Flag
http://www.loeser.us[...]
2009-12-11
[44]
웹사이트
Law N° 1 from the Control Council for Germany: Repealing of Nazi Laws
http://www.ena.lu/?d[...]
1945-08-30
[45]
웹사이트
Law No. 39 of the Allied Control Commission
https://web.archive.[...]
1946-11-30
[46]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Württemberg-Baden
http://www.verfassun[...]
1946-11-30
[47]
웹사이트
Württemberg-Baden 1947–1952 (Germany)
https://web.archive.[...]
[48]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Rhineland-Palatinate
https://web.archive.[...]
1947-05-18
[49]
웹사이트
Preliminary constitution of Lower Saxony
https://web.archive.[...]
1951-04-13
[50]
웹사이트
Rhineland-Palatinate (Germany)
http://www.crwflags.[...]
[51]
웹사이트
Lower Saxony (Germany)
http://www.crwflags.[...]
[52]
서적
Deutsche Staatssymbole
Athenäum-Verlag
[53]
웹사이트
SED-proposed constitution of the German Democratic Republic
http://www.documenta[...]
1946-11-14
[54]
웹사이트
Proposals 1944–1949 (Germany)
https://www.crwflags[...]
[55]
논문
A Flag Against Hitler. The 1944 National Flag Proposal of the German Resistance Movement
1983-05
[56]
웹사이트
The Saar referendum
https://web.archive.[...]
1955-10-23
[57]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the Saarland
http://www.documenta[...]
1947-12-15
[58]
간행물
Gesetz Nr. 508 über die Flagge des Saarlandes and Gesetz Nr. 509 über das Wappen des Saarlandes
Government of the Saarland
1956-07-09
[59]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the German Democratic Republic
http://www.documenta[...]
1949-10-07
[60]
웹사이트
Gesetz zur Änderung des Gesetzes über das Staatswappen und die Staatsflagge der Deutschen Demokratischen Republik
http://www.documenta[...]
1959-10-01
[61]
서적
Belonging: Solidarity and Division in Modern Societies
https://books.google[...]
Polity Press
2013-07-26
[62]
웹사이트
Information pamphlet
https://web.archive.[...]
Foundation for the Reappraisal of the SED Dictatorship
2008-03-09
[63]
웹사이트
Home page
https://web.archive.[...]
2008-02-24
[64]
웹사이트
Dr. Strangelove: How Germans Learned to Stop Worrying and Love the Flag
http://www.spiegel.d[...]
2006-06-29
[65]
웹사이트
Germany flies the flag
http://www.spiegel.d[...]
2006-06-14
[66]
뉴스
In World Cup Surprise, Flags Fly With German Pride
https://www.nytimes.[...]
2006-06-14
[67]
웹사이트
Germany's World Cup Recovery: From Humorless to Carefree in 30 Days
http://www.spiegel.d[...]
2006-07-10
[68]
웹사이트
Nach der WM: Die Party ist aus: Flaggen müssen weg
https://www.faz.net/[...]
2006-07-11
[69]
웹사이트
EM-Patriotismus: Schwarz-rot-kompliziert
http://www.spiegel.d[...]
2016-06-12
[70]
웹사이트
Deutschlandfahne: Farbe bekennen
https://www.zeit.de/[...]
2018-10-17
[71]
웹사이트
ドイツ連邦共和国基本法第22条(2)
http://www.gesetze-i[...]
[72]
웹사이트
ドイツ連邦共和国概略
http://www.japan.dip[...]
[73]
서적
(제목 없음)
2003
[74]
서적
(제목 없음)
2003
[75]
웹사이트
https://www.senatspr[...]
[76]
웹사이트
東ドイツ 国旗 意味
https://togashiseiso[...]
2021-01-31
[77]
웹인용
Anordnung über die deutschen Flaggen, dated 13.11.1996
http://www.gesetze-i[...]
2012-02-14
[78]
웹사이트
독일연방공화국 기본법 제22조
http://bundesrecht.j[...]
[79]
웹인용
Schwarz Rot Gold. Symbol der Einheit
https://web.archive.[...]
2004-12-15
[80]
웹인용
Zur Auflösung der Jenaer Burschenschaft / Wir hatten gebauet ein stattliches Haus free midi mp3 download Strand Hotel Sechelt bed breakfast
http://www.ingeb.org[...]
[81]
웹인용
The Flag of Germany
https://web.archive.[...]
2011-08-25
[82]
웹인용
§ 124 OWiG: Benutzen von Wappen oder Dienstflaggen
http://bundesrecht.j[...]
2008-02-24
[83]
웹인용
Anordnung über die deutschen Flaggen
http://bundesrecht.j[...]
2008-02-26
[84]
웹인용
Flag hoisting formats and terminology (Germany, Austria, and adjacent countries)
http://www.fotw.info[...]
2008-02-24
[85]
웹인용
Anordnung des Bundespräsidenten über die Dienstflagge der Seestreitkräfte der Bundeswehr
http://www.gesetze-i[...]
2008-02-10
[86]
웹사이트
Basic Law for the Federal Republic of Germany
http://www.documenta[...]
2008-02-24
[87]
웹인용
Anordnung über die deutschen Flaggen
http://www.documenta[...]
2007-08-09
[88]
웹인용
Verordnung über die deutschen Flaggen
http://www.documenta[...]
2007-08-09
[89]
웹인용
Colors of the Flag (Germany)
https://www.crwflags[...]
2008-02-24
[90]
웹인용
Historical Use of the Current Flag
https://www.crwflags[...]
2019-01-08
[91]
웹인용
Primärfarben
https://web.archive.[...]
2008-02-26
[92]
웹인용
Styleguide der Bundesregierung
https://styleguide.b[...]
2020-06-26
[93]
저널
Flags of the Weimar Republic
[94]
법률
3 StR 45/59
1959-11-16
[95]
저널
Schwarz–Rot–Gold oder Schwarz–Rot–Gelb?
[96]
웹인용
Beflaggungserlass der Bundesregierung
https://web.archive.[...]
2015-03-11
[97]
웹인용
Flag Protocol (Germany)
http://www.crwflags.[...]
2008-02-26
[98]
웹인용
Holy Roman Empire
http://www.crwflags.[...]
2008-02-26
[99]
웹인용
Unidentified 'Rhine Republic' Flag 1806 (Germany)
http://www.crwflags.[...]
2008-02-26
[100]
저널
Schwarz-Rot-Gold: Einheit in Freiheit
[101]
저널
Illustrierte Zeitung
1865-08-05
[102]
웹인용
German Confederation
http://www.crwflags.[...]
2008-03-02
[103]
서적
History of Germany in the Nineteenth Century
[104]
서적
History of Germany in the Nineteenth Century
[105]
웹인용
Austria: The Age of Metternich
http://www.britannic[...]
2008-03-05
[106]
웹인용
The Hambach Festival
http://www.hambacher[...]
2008-02-24
[107]
웹인용
Gesetz betreffend die Einführung einer deutschen Kriegs- und Handelsflagge
http://www.documenta[...]
2007-08-09
[108]
웹인용
Constitution of the North German Confederation
http://www.documenta[...]
2008-02-24
[109]
웹인용
Constitution of the German Empire
http://www.documenta[...]
2008-02-24
[110]
웹인용
Constitution of the Weimar Republic
http://www.documenta[...]
2008-02-24
[111]
웹인용
Symbol für Freiheit, Einheit und Demokratie
http://www.landtag.r[...]
2008-01-10
[112]
웹인용
Erlaß des Reichspräsidenten über die vorläufige Regelung der Flaggenhissung
http://www.documenta[...]
2010-07-17
[113]
웹인용
The German Swastika Flag 1933–1945
http://www.loeser.us[...]
2010-07-17
[114]
서적
Flags & standards of the Third Reich
Macdonald & Jane's
[115]
웹인용
Reichsflaggengesetz
http://www.documenta[...]
2007-12-23
[116]
뉴스
GERMANY: Little Man, Big Doings
http://www.time.com/[...]
TIME Magazine
1935-09-23
[117]
간행물
푈키셔 베오바흐터에서 인용
푈키셔 베오바흐터
1935-09-17
[118]
웹인용
The Life of the Fuehrer
https://research.cal[...]
[119]
서적
Mein Kampf, volume 2, chapter VII
[120]
웹인용
Verordnung über die vorläufige Regelung der Flaggenführung auf Kauffahrteischiffen
http://www.documenta[...]
2007-12-23
[121]
웹인용
Historical Flags of Our Ancestors - The German Swastika Flag
http://www.loeser.us[...]
[122]
웹인용
Law N° 1 from the Control Council for Germany: Repealing of Nazi Laws
http://www.ena.lu/?d[...]
2007-12-23
[123]
웹인용
Law No. 39 of the Allied Control Commission
http://www.fotw.net/[...]
2008-02-26
[124]
웹인용
Constitution of Württemberg-Baden
http://www.verfassun[...]
2014-02-12
[125]
웹인용
Württemberg-Baden 1947–1952 (Germany)
http://www.fotw.net/[...]
2008-02-24
[126]
웹인용
Constitution of Rhineland-Palatinate
http://verfassungen.[...]
2008-02-24
[127]
웹인용
Preliminary constitution of Lower Saxony
http://verfassungen.[...]
2008-02-24
[128]
웹인용
Rhineland-Palatinate (Germany)
http://www.crwflags.[...]
2008-03-03
[129]
웹인용
Lower Saxony (Germany)
http://www.crwflags.[...]
2008-03-03
[130]
서적
Deutsche Staatssymbole
Athenäum-Verlag
[131]
웹인용
SED-proposed constitution of the German Democratic Republic
http://www.documenta[...]
2008-02-24
[132]
웹인용
Proposals 1944–1949 (Germany)
https://www.crwflags[...]
2008-02-24
[133]
저널
A Flag Against Hitler. The 1944 National Flag Proposal of the German Resistance Movement
1983-05-01
[134]
웹인용
The Saar referendum
http://www.ena.lu/sa[...]
2016-03-02
[135]
웹인용
Constitution of the Saarland
http://www.documenta[...]
2008-02-24
[136]
간행물
Gesetz Nr. 508 über die Flagge des Saarlandes and Gesetz Nr. 509 über das Wappen des Saarlandes
1956-07-09
[137]
웹인용
Constitution of the German Democratic Republic
http://www.documenta[...]
2008-02-24
[138]
웹인용
Gesetz zur Änderung des Gesetzes über das Staatswappen und die Staatsflagge der Deutschen Demokratischen Republik
http://www.documenta[...]
2008-02-24
[139]
서적
Belonging: Solidarity and Division in Modern Societies
https://books.google[...]
Polity Press
2013-07-26
[140]
웹사이트
Information pamphlet
http://www.stiftung-[...]
[141]
웹사이트
Home page of monarchist organisation Tradition und Leben
http://www.promonarc[...]
2008-02-24
[142]
웹인용
Dr. Strangelove: How Germans Learned to Stop Worrying and Love the Flag
http://www.spiegel.d[...]
2008-03-05
[143]
웹인용
Germany flies the flag
http://www.spiegel.d[...]
2008-02-24
[144]
웹인용
Germany's World Cup Recovery: From Humorless to Carefree in 30 Days
http://www.spiegel.d[...]
2008-03-05
[145]
웹인용
Nach der WM: Die Party ist aus: Flaggen müssen weg
https://www.faz.net/[...]
2019-01-05
[146]
웹인용
EM-Patriotismus: Schwarz-rot-kompliziert
http://www.spiegel.d[...]
2019-01-05
[147]
웹인용
Deutschlandfahne: Farbe bekennen
https://www.zeit.de/[...]
2019-01-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